DB클라우드 그룹웨어 서비스 통합로그인 Okta를 통한 통합로그인이 가능합니다.
한 번의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만으로 여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구글워크스페이스 G메일이나 구글드라이브, 등 구글 내 다양한 서비스, Microsoft 365, NAVERWORKS, 그룹웨어 포털, 전자결재, 근태관리, 출퇴근 관리등 등까지 자동으로 로그인되는 시스템 체계도 SSO를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구글워크스페이스 기능은 메시징, 회의, 문서 등을 모두 통합한다.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구글 보안으로 구축되고, 가장 깨끗한 클라우드(cleanest cloud)에 의해 구동된다.
구글워크스페이스 단순성, 실용성, 유연성 등 세 가지 핵심 제품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구글워크스페이스 제품군은 단순성과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소비자, 기업 및 교 육 분야에서 26억 명이 넘는 사용자에게 사랑받고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아니라, 구식의 데스크톱 앱을 계속 제공하면서 클라우드에 맞추어 개조되었기 때문에 실 시간 공동 작업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다른 도구들과는 다르다.
구글 AI는 모든 구글 제품의 핵심 구성 요소다. AI가 일상적인 작업 (지루한 일)을 처리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처음부터 팀이 어디서든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구글 도구는 인터넷 연결만으로 언제나 액세스가 가능하다. 사무실에 묶여 있을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3써드 파티 확장, API , 그리고 개발자 도구로 구성된 광범위한에코시스템을 통해 필요에 맞게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쉽게 맞춤 설정할수 있다.
철강 제조 전문업체 대한제강은 2012년부터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도입해 사용 중이다. 대한제강에는 IT센터가 없었고 기획팀에서 전자결재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면서 함께 연동해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비즈니스 도구가 필요했다.
안정적인 서버를 기반으로 다양한 앱과 강력한 보안을 지원하는 구글 워크스페이스로 기업의 모든 문서와 자료를 라이브러리화고, 물리적 환경의 제약을 뛰어넘는 효과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대한제강은 2019년 구글 클라우드 서밋에 참여해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실제 업무에 활용한 사례와 실무자들을 위한 사용 팁을 공유한 바 있다.
글로벌 모바일 게임 선도 기업 넷마블은 2017년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도입한 이후 다양한 구글 클라우드 툴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 AI 기반 머신러닝을 넷마블의 전반적인 인프라에 적용해 게임 개발 및 운영,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전반에서 혁신을 이루고 있다.
[ 출처 : 전자신문, 2021-05-10]
https://www.etnews.com/20210507000187
https://workspace.google.com/blog/ko/hybrid-work/digital-workspace-solution-google-workspace
회사에 입사를 하게 되면 하나의 팀 또는 부서에 소속이 됩니다.
그런데 Teams 를 이용하면서부터 수 많은 채널과 팀에 속한 내 자신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정체성을 찾기위해서 업무와 상관없는 채널 및 그룹을 관리자에게 부탁해서 정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가끔씩 Microsoft365관리센터에서 그룹을 삭제했지만 여전히 나한테는 보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보통 시스템에 반영되기까지 24시간 ~ 72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지만 아래의 사항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Case 1. 사용자 역할이 소유자인 경우 (팀즈 > 팀 관리 > 멤버 > 역할에서 확인 가능)
M365관리센터 > 활성사용자 > 그룹관리에서 삭제를 하더라도 팀즈에 접속 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역할을 구성원으로 변경하고, 로그아웃 후 로그인을 하면 안 나타나게 됩니다.
Case 2. 삭제한 그룹 구성원이 1명인 경우 (팀즈 > 팀 관리 > 멤버에서 소유자 및 구성원 확인 가능)
M365관리센터 > 활성사용자 > 그룹관리에서 삭제를 하더라도 그룹 구성원이 해당 사용자 1명만 있는 경우에는 팀즈에 접속 시 나타나게 됩니다.
이 때는 해당 팀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코로나19 시대는 일상생활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 중 하나의 변화는 망부석처럼 사무실에 앉아서 업무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Outlook 일정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Outlook에서 등록한 일정을 스마트폰 캘린더 App을 통해 사용을 하는데 간혹, MFA 설정 이후 스마트폰 캘린더 App과 동기화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MFA설정이 변경이 되면 같은 Microsoft 제품인 Outlook의 경우 변경 된 정보가 자동 업데이트 되면서 사용에 이상이 없지만 타사 제품 App의 경우 변경 된 정보를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못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잘 나타나던 캘린더 App에서 동기화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조치 방법은 아래의 이미지와 같습니다.
1. 핸드폰 > 설정 > 계정 및 백업 화면에 들어가서 MS 계정을 삭제합니다.
2. 삼성 스마트폰 기본 캘린더에 접속합니다. 설정 > 계정 추가 > Exchange 선택을 하면 이메일 주소 입력 화면이 나타납니다.
3. 암호 입력 시 MFA설정이 된 사용자의 경우 Authenticator에서 알림 메시지가 전송됩니다.
이 때, 승인을 클릭하고 하단의 이미지에서도 승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4. Outlook 앱을 통해서 테스트 일정을 생성합니다.
5. 하단의 이미지를 보면 2번의 이미지와 달리 valkrlie@dbict.co.kr이 추가되어 있으며 동기화를 클릭하면 삼성캘린더 앱에도 표시가 됩니다.
Teams 에서 팀을 생성하거나 삭제를 할 수도 있고, 채널을 삭제하거나 추가를 할 수도 있습니다.
단, 모두가 알고 있는 상황에서 하면 문제가 될 리가 없지만 아무도 모르게 삭제를 하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관리자가 누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icrosoft 규정준수센터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https://compliance.microsoft.com/